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덤프버전 :

||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제11회 아시안 게임
第十一届亚洲运动会™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XI Asian Games Beijing 1990
파일: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로고.svg
대회기간 1990년 9월 22일 ~ 10월 7일
개최국 중국 / 베이징시
참가국 36개국
참가인원 6,122명
경기종목 27개 종목 - 308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 양상쿤
중국 주석
선수선서 천룽찬
성화점화 쉬하이펑, 가오민, 장룽팡
개·폐회식장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1. 개요
2. 경기
3. 메달 순위
4. 대한민국 메달 현황
4.1. 메달 현황
4.1.1. 금메달
4.1.2. 은메달
4.1.3. 동메달
5. 엠블럼
6. 마스코트
7. 한국측 중계진
8. 한국측 공식 스폰서
9. 여담



1. 개요[편집]


중국 베이징시에서 개최된 제11회 하계 아시안 게임. 이 시기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중국의 지명이나 인명을 한국식 한자로 발음하는 편이 많았기 때문에 거의 북경 아시안게임이라고 일컬었다.


2. 경기[편집]


1986 서울 아시안 게임때까지만 해도 중국이 앞서기는 했지만 압도하지 못했던 종합 성적이었다.[1] 그런데 중국은 버프를 받은 이 대회에서부터 넘사벽의 성적으로 종합 1위를 싹쓸이하게 된다. 중국은 자그마치 금메달 183개, 은메달 107개, 동메달 51개를 받으며 2위인 한국(금 54, 은 54, 동 73)을 크게 앞질렀다.

일본은 3위 (금 38, 은 60, 동 76), 북한은 4위 (금 12 , 은 31, 동 39) 였다. 이 기록은 중국의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계속 깨지지 않다가 역시 홈 버프를 받은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금 199개, 은 119개, 동 98개)에서 깨지게 된다.[2] 하지만 금메달 수 자체가 310개에서 477개로 1.5배 늘어난 것을 생각하면, 개최국이 금 메달의 60%를 싹쓸이 하는 아시안 게임은 전무후무했다.

대만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아시안 게임에 복귀하게 되었다. 지못미 국민당 대만은 은메달 10개, 동메달 21개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노골드라서 순위가 크게 떨어졌다 (16위). 메달 갯수로 치면 5위인 31개. 인도 역시 은메달 8개, 동메달 14개에 비해 금메달은 1개에 그쳤다.

그리고 지난 대회와는 달리 보이코트가 없어 참가국이 늘어났다. 하지만 이라크쿠웨이트침공했다는 이유로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3][4] 당시 OCA 회원국 38개국중 유일한 불참국이었다.


3. 메달 순위[편집]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ta-hash-start=w-a99509dcdbfe18122905caf51d940196[[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8310751341
2ta-hash-start=w-85b7803f6b859b0f1d25f18010766144[[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545473181
3ta-hash-start=w-bfcf792df01544a6a78d747cb6278af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86076174
4ta-hash-start=w-4b50e99828c33d971ba5d9dc661037be[[파일:북한 국기.svg 북한12313982
5ta-hash-start=w-ac4e60ea6e45a09da42c7e8fb15ce613[[파일:이란 국기.svg 이란46818
6ta-hash-start=w-77340c2e00e9e6ad1b2784dad06291ea[[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41712
7ta-hash-start=w-bc4983571ea69da3e11880b58bc50994[[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362130
8ta-hash-start=w-266543e5d38ca566f880331c862bad82[[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3216
9ta-hash-start=w-6bec22d989fd9944a46e42ea11bebee1[[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7817
10ta-hash-start=w-ae6272b0342a76d5a6ba771b94ac048c[[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2248
11ta-hash-start=w-d6afc47d9260056bf6ebac5a4c908540[[파일:인도 국기.svg 인도181423
12ta-hash-start=w-2cb51169c219f6ecfc3e3fc6f6cbbefd[[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svg 몽골171917
13ta-hash-start=w-617eed14b937d3e2c5cec24f79eb134d[[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12710
14ta-hash-start=w-bb1c11c1e8ac4193b55320100bab0eb2[[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1023
15ta-hash-start=w-6d70cb65d15211726dcce4c0e971e21c[[파일:오만 국기.svg 오만1000
16ta-hash-start=w-98512e599eadddf308d4dfeb48f98005[[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0102131
17ta-hash-start=w-9f815b8ac65e3c1119ae82360710a218[[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영국령 홍콩0257
18ta-hash-start=w-128a095fda391e3f3ae98866be7f90cf[[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0213
19ta-hash-start=w-e37d015e5d80348a275284efacdb6db5[[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0145
20ta-hash-start=w-deff6a3562665483fc32aa2a7fa03b35[[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0101
21ta-hash-start=w-280a8e9f937dc8c7b25269628a1ed964[[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0011
ta-hash-start=w-4a2c923fbf79c201463ff4932c961e9c[[파일:포르투갈령 마카오기.png 포르투갈령 마카오0011
ta-hash-start=w-c0bc33be2e78a146322ceb5e08440f06[[파일:네팔 국기.svg 네팔0011
ta-hash-start=w-da330e0249dd0aae6f68cbc26dc726e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0011

4. 대한민국 메달 현황[편집]



4.1. 메달 현황[편집]


종목합계
양궁4127
육상26513
배드민턴1326
복싱5229
볼링2024
사이클2147
승마3126
축구0011
펜싱36211
골프2114
체조1236
핸드볼2002
하키1001
유도25916
조정0458
카누3238
요트1135
사격510823
수영1157
테니스44412
탁구2338
배구0202
역도52310
레슬링112417
수구0011
농구1012
합계545473181


4.1.1. 금메달[편집]


메달종목세부종목이름
골프여자개인원재숙
골프여자단체신소라 엄정미 원재숙 이종임
농구여자대표팀서경화 성정아 유정애 이강희 이형숙 임애경 정미경 정은순 조문주 천은숙 최경희 하숙례
레슬링100kg급(F)김태우
레슬링48kg급(F)김종신
레슬링48kg급(G)권덕용
레슬링52kg급(G)안한봉
레슬링57kg급(G)시진철
레슬링68kg급(F)박장순
레슬링68kg급(G)문충식
레슬링74kg급(G)한치호
레슬링82kg급(G)김상규
레슬링90kg급(G)오효철
레슬링68kg급(F)엄진한
배드민턴혼합복식박주봉 정명희
복싱+91kg급백현만
복싱48kg급양석진
복싱51kg급이창환
복싱60kg급이재권
복싱91kg급채성배
사격센타파이어권총박병택
사격소구경소총3자세이은철
사격소구경소총3자세단체이시홍 이은철 차영철
사격속사권총단체박병택 이종임 임장수
사이클4km개인추발박민수
사이클50km득점경기박민수
수영남자배영200m지상준
양궁남자개인양창훈
양궁남자단체김선빈 박재표 양창훈
양궁여자개인이장미
양궁여자단체김수녕 이은경 이장미
역도100kg급황우원
역도110kg급김태현
역도56kg급전병관
역도82.5kg급염동철
역도90kg급김병찬
요트레이저급박길철
유도71kg급정훈
유도78kg급김병주
육상남자800m김봉유
육상남자마라톤김원탁
체조남자평행봉이주형
카누남자1,000k-1천인식
카누남자1,000k-2박차근 천인식
카누남자500k-2박차근 천인식
탁구남자단체강희찬 김택수 문규민 박지현 유남규
탁구여자복식현정화 홍차옥
펜싱남자에빼개인양달식
펜싱남자에빼단체양달식 윤남진 이상기 장태식 조희제
펜싱여자플러레개인탁정임
하키여자대표팀권창숙 김경애 김국희 김순덕 김형순 노영미 손정임 유제숙 이경희 이선영 이옥희 임계숙 장은정 전원심 조규순 한금실
핸드볼남자대표팀강재원 김재환 문병욱 박도현 성선용 심재홍 윤경신 이기호 이상섭 이석형 이학면 조영신 조치효 최석재
핸드볼여자대표팀강선경 공주 김태영 박영선 박정림 백인숙 석민희 오성옥 이미영 이임숙 이종심 임미경 장리라 조범연 조은희 진미숙 허영선 홍지현


4.1.2. 은메달[편집]


메달종목세부종목이름
골프여자개인이종임
배구남자대표팀노진수 마낙길 박삼용 신영철 윤종일 이경석 이상열 장윤창 정의탁 하종화 한장석 홍해철
배구여자대표팀강주희 김경희 김귀순 남순옥 문효숙 박미희 엄정미 유연수 장경희 장윤희 주선진 지경희
배드민턴남자복식김문수 박주봉
배드민턴여자단식이영숙
배드민턴여자복식길영아 정소영
복싱61kg급진명돌
복싱81kg급황경섭
사격공기소총단체김종길 배성덕 안병균
사격남자50m런닝타켓홍승표
사격남자속사권총개인임장수
사격센타파이어권총단체박병택 이상학 임장수
사격소구경자유소총단체이시홍 이은철 차영철
사격스키트단체김하연 임동기 전찬식
사격스텐다드권총단체박병택 이상학 임장수
사격여자공기권총단체부순희 이선복 홍연옥
사격여자공기소총단체윤순남 이은주 진순영
사이클여자3km개인추발김정신
수영계영400m김은정 명경현 이문희 이은주
양궁여자개인이은경
역도110kg급전상석
역도90kg급이형근
요트옵티미스트급최정연
유도남자60kg급김종만
유도남자65kg급김종수
유도남자86kg급김승규
유도남자무제한급김건수
유도여자무제한급문지윤
육상남자1,500m김봉유
육상남자10,000m김재홍
육상남자400m허들황홍철
육상남자800m유태경
육상남자투창김기훈
육상여자높이뛰기김희선
조정남자무타페어이기현 조준형
조정남자무타포어윤남호 이형기 하진식 황희택
조정남자싱글스칼임경석
조정여자무타페어김성옥 이재남
체조남자도마이주형
체조여자마루이희경
카누남자1,000k-4김동수 김병천 박기정 정종환
카누여자500k-1이용철
탁구여자단체이태조 현정화 홍순화 홍차옥
탁구혼합복식유남규 현정화
테니스남자단체김봉수 김재식 배남주 유진선
테니스여자복식김일순 이정명
테니스혼합복식김일순 유진선
펜싱남자사브르단체김상욱 유상주 이욱재 이현수 이효근
펜싱남자에빼개인장태석
펜싱남자플러레개인김승표
펜싱남자플러레단체김승표 이용국 이호성 홍영승 황준석
펜싱여자에뻬단체김명자 박수미 이순이 전순미 정명수
펜싱여자플러레단체신성자 이전희 정채구 탁정임


4.1.3. 동메달[편집]


메달종목세부종목이름
골프남자단체민혜식 안주환 오진근 한영근
농구남자대표팀강동희 김유택 김진 김현준 서대성 이민형 이원우 이충희 정재근 최범식 표필상 허재
레슬링130kg급(F)조병은
레슬링62kg급(F)신상규
레슬링74kg급(F)박영진
레슬링82kg급(F)이동우
배드민턴남자단체김문수 김학균 박주봉 성한국 손진한 안재창 이광진 최상범
배드민턴여자단체길영아 심은정 이영숙 이정미 이흥순 정명희 정소영 황혜영
배드민턴여자단식이영숙
배드민턴여자복식길영아 정소영
복싱61kg급전진철
복싱81kg급홍기호
사격50m런닝타켓혼합개인홍승표
사격50m런닝타켓혼합단체이용철 허대경 홍승표
사격남자50m런닝타켓단체김운진 이용열 홍승표
사격소구경자유소총개인차영철
사격여자공기권총개인이선복
사격여자소구경스탠다드소총복사단체강영아 김미향 이혜경
사격여자소구경스탠다트소총단체공현아 김미향 이혜경
사이클남자100km단체도로권정호 박명순 정래진 조덕행
사이클남자1km독주엄영섭
사이클남자4km단체추발김용규 박민수 이경환 정점식
사이클여자70.03km도로경미옥
수구남자대표팀권오길 박문선 박석범 박종길 안상훈 유승훈 이상원 이상현 이정석 장시영 정동섭 정보근 정영식
수영남자개인계영400m김성태
수영남자계영800m권상원 이윤안 임철성 지상준
수영남자접영200m이윤안
수영남자혼계영400m김동현 윤주일 이윤안 지상준
수영여자혼계영400m김수진 박성원 유홍미 이창하
양궁남자개인김선빈
양궁여자개인김수녕
역도+110kg급손성국
역도여자60kg급원순이
역도여자67.5kg급정명숙
요트남자디비젼II서용근
요트여자470급김혜숙 정은숙
요트여자디비젼II주순안
유도남자+95kg급김건수
유도남자-95kg급백장기
유도여자+72kg급문지윤
유도여자-48kg급옥경숙
유도여자-52kg급박미희
유도여자-56kg급조민선
유도여자-61kg급김성혜
유도여자-66kg급박지영
유도여자-72kg급김미정
육상남자높이뛰기조현욱
육상남자봉고도김철균
육상남자세단뛰기유재근
육상여자100m이영숙
육상여자마라톤이미옥
조정경량급무타포어이인기 장현철 조춘영 최경욱
조정경량급싱글스컬김연희
조정남자에이트김성수 김욱학 안상진 윤남오 이기현 이형기 하진식 홍성균 황희택
조정여자무타포어강민홍 국인숙 김성옥 이재남
조정여자싱글스컬강신숙
체조남자단체강병의 김종수 유옥렬 윤창선 이주형 정진수
체조여자단체민아영 박지숙 배은미 이희경 조은진 한나정
체조여자도마박지숙
축구남자대표팀고정운 구상범 김상호 김주성 김판근 김풍주 노정윤 박경훈 변병주 서정원 윤덕여 이영진 정광석 정용환 정종수 최순호 최인영 홍명보 황보관 황선홍
카누남자500c-1박창규
카누남자500k-4김동수 김병천 박기정 정종환
카누여자500k-1윤미정
탁구남자단식유남규
탁구남자복식김택수 유남규
탁구혼합복식강희찬 홍차옥
테니스남자단식김봉수 김재식
테니스남자복식이진호 지승호
테니스여자단식김일순 박말심
테니스여자단체김일순 박말심 이정명 임숙자
펜싱남자사브르개인유상주
펜싱남자에빼개인이상기


5. 엠블럼[편집]


중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인 만리장성을 모티브로 했다.


6. 마스코트[편집]


파일:PanPan(1990_asian_games).jpg

판다 캐릭터로 이름은 판판(盼盼, Pànpàn)이다. 디자이너는 중국 국가1급 미술사 류중런(刘忠仁). 다만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때는 따로 이름이 없었는지 폐막식에 차기 대회 개최지 마스코트로 등장할 때 슝마오(Xiong Mao) 라고 불렀다. 슝마오는 중국어로 웅묘(熊猫), 즉 이른 그대로 판다란 뜻이다.[5]


7. 한국측 중계진[편집]




8. 한국측 공식 스폰서[편집]



9. 여담[편집]















[1] 서울 대회에서는 대한민국을 금메달 1개 차로 제치고 종합 1위를 했다.[2] 이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 201개로 다시 경신한다.[3] 쿠웨이트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 본부가 있는 곳이며, 셰이크 파하드 알 아메드 알 자베르 알 사바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의장이 이라크군과의 교전 중 전사했다.[4] 이후 이라크는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 복귀한다.[5] 다만 중국 본토 이외의 대만 등에서는 저걸 뒤집어서 '묘웅(마오슝)'이라고 부른다.[6] <KBS 연지 1991> p54 참고.[7] <MBC 가이드> 1990년 10월호 기사, <문화방송 삼십년사(1992)> p493 등지 참고.[8] 당시 중국 정부는 천안문 광장에 TV 스크린을 설치했을 정도로 기대감이 컸다고 한다. 실제로 1, 2, 3차 투표에서 베이징이 모두 1위를 했으니까. 그러나 결국 45대 43 이라는 근소한 표차로 시드니에게 패했다. 이 당시 자료영상을 보면 만리장성 팔달령에 중국 오성홍기 깃발을 들고 빽빽하게 올라가 있는 응원단들의 망연자실한 표정이 실시간으로 시드니의 환호하는 관중과 교차편집되어 방송을 타는 것을 볼 수 있다.[9] 중국 입장에서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하기 위해 대만을 압박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때문에 대만이 덜컥 불참해버리면 모양새가 안 좋아서 선택의 여지가 사실상 없었다. 어차피 '중화'라는 명칭을 쓴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대만이 중국과 한 핏줄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기도 하고. 중국과 중화의 어감상 차이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10] 사실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이라는 훌륭한 선례(?)가 있기는 했다. 이때 경찰이 학생들을 상대로 학살을 벌이는 일이 벌어졌지만 올림픽 하루 전에 일어난 일이었기 때문에 대규모 보이콧은 일어나지 않았다.[11] 서울올림픽 당시에는 건국대학교 재학생 신분이었다. 다른 두 명은 당시 서울예술고등학교 무용과 재학생이던 손미정과 흑산중학교 소흑산분교(현 가거도분교)의 체육교사였던 정선만.[12] 물론 당시는 그레코로만형과 자유형이 각각 10체급씩이었고, 구 소련에서 독립한 중앙아시아 5개국이 참가하기 전 마지막 대회였다.